안녕하세요. 이번 글에서는 2024년 서울형 아이돌봄비(손주돌봄수당) 신청자격 및 소득기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서울형 아이돌봄비는 영아를 키우는 가정에서 조부모(4촌 이내 친인척 포함)가 영아를 돌보는 경우 또는 서울시에서 지정한 민간기관의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할 때 돌봄 비용을 지원(택1)하여 가정의 양육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제도입니다.
이는 가족 돌봄과 민간 돌봄 서비스를 함께 지원하는 전국 최초 정책으로, 맞벌이, 한부모, 장애부모 등 양육공백 가정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목적입니다.
서울형 아이돌봄비 신청자격(2024년 기준)
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지원 가능합니다.
- 부모 및 아동(24개월 ~ 36개월)이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(아이와 부 또는 모의 주소가 같아야 함)
- 소득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(맞벌이는 부부 합산소득의 25% 경감)
- 맞벌이, 한부모, 다자녀 등 양육 공백 가정
2024년 기준 중위소득 150% 가구원수별 소득기준(월소득, 세전)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~3인: 707만원
- 4인: 859만원
- 5인: 1억 44만원
참고로, 2024년 가구원수별 중위소득 150% 기준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.
가구원수 | 월소득기준(원) |
---|---|
1인 | 3,343,000 |
2인 | 5,524,000 |
3인 | 7,072,000 |
4인 | 8,595,000 |
5인 | 10,044,000 |
6인 | 11,428,000 |
아이돌봄비 지원 금액
서울형 아이돌봄비는 친인척 조력자 아이돌봄비와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권으로 나뉘어 있으며, 둘 중 한가지만 받을 수 있습니다.
친인척 조력자 아이돌봄비
조부모(4촌이내 친인척 포함) 중 1명이 손자녀(조카) 돌봄 수행 시 지원됩니다. 타 시도에 거주하는 조부모(4촌 이내 친인척)도 가능하며, 해당 월 정부지원 아이돌봄서비스 미이용 확인 후 지원됩니다.
- 영아 1명 월 30만원(월 40시간 이상 돌봄)
- 영아 2명 월 45만원(월 60시간 이상 돌봄)
- 영아 3명 월 60만원(월 80시간 이상 돌봄)
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권
서울시 지정 민간기관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시 지원됩니다. 월 20~40시간 이상 이용 시 실 이용시간에 비례하여 지원되며, 월 최소 이용 20시간 충족 시 지원 가능합니다. 월 최대 한도 시간 미충족 시 다음 달로 이월 불가하며, 해당 월 정부지원 아이돌봄서비스 미이용 확인 후 지원됩니다.
- 영아 1명: 시간당 7,500원(월 15~30만원)
- 영아 2명: 시간당 11,250원(월 22.5~45만원)
- 영아 3명: 시간당 15,000원(월 30~60만원)
지정 민간 아이돌봄 기관은 맘시터pro, 돌봄플러스, 우리동네 돌봄히어로입니다.
서울형 아이돌봄비 신청방법
- 매월 1~15일 신청(아동 23개월부터 가능, 정부지원 아이돌봄서비스 자격 판정 필요)
- 매월 25일까지 자치구에서 자격 확인 및 대상 선정
- 돌봄 이용 전월 말까지 사전 조치(친인척 조력자: 만능키 회원가입 및 사전교육 이수, 민간 아이돌봄: 기관 선택 및 회원가입)
- 돌봄 활동 또는 민간 서비스 이용(돌봄 이용월, 1일 4시간, 주말/공휴일 포함 인정, 야간 22~6시 제외, 어린이집 이용 아동은 기본보육시간 9~16시 제외)
- 익월 20일 돌봄비 지원
신청은 서울시 출산육아 통합포털 ‘몽땅 정보 만능키‘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습니다.
친인척 돌봄활동 시 유의사항
- 일 4시간까지만 돌봄시간 인정(과도한 육아부담 방지)
- 심야시간(22~06시) 돌봄시간 불인정
- 어린이집 이용 아동은 기본보육시간(9~16시) 제외하고 돌봄시간 산출
- 어린이집 등하원 시 돌봄 시작/종료 시간 기준(등원 시 돌봄: 시작~9시까지 인정, 하원 시 돌봄: 16시~종료까지 인정)
- 주말/공휴일은 반드시 시작/종료 QR체크 필요
조부모 등 돌봄 제공자는 서울 외 지역 거주 가능하며, 최대 13개월 간 지원됩니다.
서울형 아이돌봄비 신청 시 제출 서류
- (공통) 사회보장급여(아이돌봄서비스) 결정결과(자격판정결과 중위소득 150% 이하(가~다형)만 신청 가능)
- (친인척 조력자 신청 시) 아동과의 관계 확인 가능한 가족관계증명서, 수급자 통장사본(수급자는 부모 또는 조부모(4촌 이내) 중 서울 시민만 가능)
- 그 외 주민등록등본, 건강보험료납부확인서(맞벌이), 진단서/처방전(질병·입원) 등
자주 묻는 질문 모음
Q1. 서울형 아이돌봄비와 정부지원 아이돌봄서비스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A1. 아니요, 서울형 아이돌봄비는 해당 월 정부지원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만 지원됩니다.
Q2. 조부모가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해도 지원 가능한가요?
A2. 네, 타 시도에 거주하는 조부모(4촌 이내 친인척)도 돌봄 수행 시 지원 가능합니다.
Q3. 지원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?
A3. 최대 13개월 간 지원됩니다.
Q4. 신청은 어디서 할 수 있나요?
A4. 서울시 출산육아 통합포털 ‘몽땅 정보 만능키’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2023년 9월부터 시작된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급은 2024년에도 서울시는 영아 가정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을 계속하고 있습니다. 조부모나 친인척의 돌봄을 지원하거나, 지정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 시 비용을 지원해주니 꼭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!
📌 함께보면 좋은 복지정책 인기글
1️⃣ 두루누리 지원금 대상 | 지원금액 계산기 | 신청방법 | 환수조건
2️⃣ 2024 청년도전 지원사업 | 신청 자격 | 지원 금액 | 인센티브
3️⃣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| 대상 | 신청 방법 | 지원 금액 | 이월 여부
위와 같이 2024년 서울형 아이돌봄비(손주돌봄수당) 신청자격 및 지급액, 신청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